정장세트> KISTI정책총서발간…“과기정보인프라발전정책제언”
오늘의소식869 20-03-28 03:39
본문
특히 유전자변형 종자 관련 시장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종자시장을 형질전환 종
자(Traited seed) 시장과 유전형질(Genetic traits) 시장으로 구분하기도 한다.299) 예를 들
면, 제초제 저항성(herbicide tolerance)이나 해충 저항성(insect resistance)의 특성을 갖는
옥수수 종자, 콩 및 면화 종자 등의 거래에 관한 시장은 형질전환 종자(Traited seed) 시
295) 김수석 외, “종자산업의 도약을 위한 발전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12.
296) 종자산업법 제2조 제2항
297) 김수석 외, 앞의 보고서, 8면
298) 김수석 외, 앞의 보고서, 8면
299) Diana L. Moss, “Competition and the Transgenic Seed Industry”, Organization for Competitive Markets
2009 Food and Agriculture Conference, August 7, 2009.
- 127 -
장에 해당하지만, 옥수수, 콩 및 면화의 종자에 사용될 수 있는 제초제 저항성 또는 해충
저항성의 유전 형질(Genetic traits) 등의 거래에 관한 시장은 유전형질 시장이다. 형질전
환 종자 시장은 전통적인 종자시장에서와 같이, 특정한 형질을 포함한 ‘종자’의 거래에
초점을 맞추지만, 유전형질 시장은 특정한 ‘유전 형질’ 그 자체의 거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기면도기 추천 전기면도기 추천전기면도기 | 전기면도기
구강세정기 | 구강세정기
헤어드라이기추천 헤어드라이기추천
(1) 일반인 온라인 교육
(가) 기업·대학·일반인 과정
- 38 -
구분 콘텐츠명 강사 개발 수정
40 (2015)IP 활용하여 R&D 잘하기(10차시) 김현익 변호사 외부
41 (2015)내 손으로 지키는 IP(3차시) 강장묵 박사 2015
42 (2016)기술가치평가 활용과 사례(3차시) 김웅 변리사 2016
43 (2016)상표 분쟁 사례 및 판례(3차시) 정우영 교수 2016
44 (2016)저작권 분쟁 사례와 대응전략(3차시) 박지영 등 2016
45 (2016)기술경영론(기술환경과 경영)(12차시,학점은행) 전상욱 변리사 학점분할
46 (2016)기술경영론(기술경영과 특허)(2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변리사 학점분할
47 (2016)기술경영론(정보의 활용과 소통)(6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48 (2016)기술경영론(기술혁신과 전략)(4차시,학점은행) 박정호변호사 학점분할
49 (2016)기술경영론(벤처창업과 사례)(2차시,학점은행) 이영민변리사 학점분할
50 (2016)디자인보호법(개요 및 디자인 성립요건)(4차시,학점은행) 김성환변리사 학점분할
51 (2016)디자인보호법(출원 절차 및 등록요건)(7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등 학점분할
52 (2016)디자인보호법(디자인 특유의 제도)(9차시,학점은행) 나문용 변리사 학점분할
53 (2016)디자인보호법(디자인권의 효력 및 분쟁)(5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54 (2016)디자인보호법(헤이그 국제출원 제도)(1차시,학점은행) 박종태 변리사 학점분할
55 (2016)법학개론(법의 기초이론)(4차시,학점은행) 강장묵 박사 학점분할
56 (2016)법학개론(헌법)(4차시,학점은행) 강장묵 박사 학점분할
57 (2016)법학개론(민법)(4차시,학점은행) 강장묵 박사 학점분할
58 (2016)법학개론(민사소송법)(2차시,학점은행) 강장묵 박사 학점분할
59 (2016)법학개론(형법)(4차시,학점은행) 강장묵 박사 학점분할
60 (2016)법학개론(형사소송법)(2차시,학점은행) 김웅 변리사 학점분할
61 (2016)법학개론(상법)(2차시,학점은행) 김웅 변리사 학점분할
62 (2016)법학개론(사회법)(2차시,학점은행) 김웅 변리사 학점분할
63 (2016)법학개론(행정법)(2차시,학점은행) 김웅 변리사 학점분할
64 (2016)자연과학개론(과학의 이해)(4차시,학점은행) 김웅 변리사 학점분할
65 (2016)자연과학개론(지구과학)(4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66 (2016)자연과학개론(물리)(6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67 (2016)자연과학개론(화학)(6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68 (2016)자연과학개론(생물)(6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69 (2016)저작권법(저작물의 성립과 저작자 분류)(8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70 (2016)저작권법(저작권의 효력 및 제한)(8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71 (2016)저작권법(저작인접권 및 저작권법상 특례)(2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72 (2016)저작권법(저작권 침해 및 구제)(6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73 (2016)저작권법(저작권 최신판례)(2차시,학점은행) 정우영 교수 학점분할
74 (2016)특허법(총칙 및 특허요건)(6차시,학점은행) 박지영 교수 등 학점분할
75 (2016)특허법(출원 절차 및 제도)(6차시,학점은행) 박지영 교수 등 학점분할
76 (2016)특허법(특허권의 효력 및 보호범위)(5차시,학점은행) 박지영 교수 등 학점분할
77 (2016)특허법(실시권제도 및 침해요건)(4차시,학점은행) 박지영 교수 등 학점분할
78 (2016)특허법(심판 소송 및 PCT)(5차시,학점은행) 박지영 교수 등 학점분할
79 (2016)기술경영론(26차시,학점은행) 전상욱 변호사 학점
80 (2016)디자인보호법(26차시,학점은행) 전상욱 변호사 학점
81 (2016)법학개론(26차시,학점은행) 전상욱 변호사 학점
82 (2016)자연과학개론(26차시,학점은행) 전상욱 변호사 학점
83 (2016)저작권법(26차시,학점은행) 전상욱 변호사 학점
84 (2016)특허법(26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변리사 학점
85 (2016)지식재산개론(26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변리사 학점
86 (2016)지식재산개론(특허법)(9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변리사 학점분할
87 (2016)지식재산개론(상표법)(6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변리사 학점분할
88 (2016)지식재산개론(디자인보호법)(5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변리사 학점분할
89 (2016)지식재산개론(저작권법)(6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90 (2017)기술이전과 라이선싱의 이해(26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
91 (2017)기술이전과 라이선싱의 이해(기술이전의 개요)(8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 39 -
구분 콘텐츠명 강사 개발 수정
92 (2017)기술이전과 라이선싱의 이해(기술이전 계약의 실제)(12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93
(2017)기술이전과 라이선싱의 이해(저작권, 상표권, 디자인권 라이선싱의
이해)(6차시,학점은행)
박정호 변호사 학점분할
94 (2017)특허명세서 작성 실무(26차시,학점은행) 박정호 변호사 학점
95 (2017)특허명세서 작성 실무(특허명세서의 작성)(18차시,학점은행) 박정호 변호사 학점분할
96 (2017)특허명세서 작성 실무(특허명세서의 완성)(4차시,학점은행) 이영민 변리사 학점분할
97 (2017)특허명세서 작성 실무(전기전자, 화학분야의 명세서 작성)(4차시,학점은행) 이영민 변리사 학점분할
98 (2017)특허정보조사와 분석(26차시,학점은행) 이영민 변리사 학점
99 (2017)특허정보조사와 분석(특허정보조사 개요)(8차시,학점은행) 김성환 변리사 학점분할
100
(2017)특허정보조사와 분석(특허 무효 및 특허 침해 검토를 위한
정보조사)(3차시,학점은행)
김성환 변리사 학점분할
101 (2017)특허정보조사와 분석(특허맵 실습)(15차시,학점은행) 김성환 변리사 학점분할
102 (2017)기업 대출에 힘이 되는 기술금융과 IP금융(3차시) 김영상 변리사 2017
103 (2017)IP제품혁신방법론(10차시) 김현호 등 외부
104 (2017)지식재산권 관리론(26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등 학점
105 (2017)지식재산권 관리론(지식재산권 관리의 필요성)(5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등 학점분할
106 (2017)지식재산권 관리론(특허확보 전략)(7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등 학점분할
107 (2017)지식재산권 관리론(특허침해 대응전략)(5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등 학점분할
108 (2017)지식재산권 관리론(표준특허의 이해)(2차시,학점은행) 김현호 등 학점분할
109 (2017)지식재산권 관리론(기술가치평가의 이해)(3차시,학점은행) 나문용 변리사 학점분할
110 (2017)지식재산권 관리론(기술이전 및 사업화전략)(4차시,학점은행) 나문용 변리사 학점분할
111 (2017)연구개발과 지식재산(26차시,학점은행) 나문용 변리사 학점
112 (2017)연구개발과 지식재산(지식재산권 보호제도)(5차시,학점은행) 나문용 변리사 학점분할
113 (2017)연구개발과 지식재산(연구개발과 권리관계)(3차시,학점은행) 나문용 변리사 학점분할
114 (2017)연구개발과 지식재산(직무발명)(3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115 (2017)연구개발과 지식재산(발명과 특허제도)(7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116 (2017)연구개발과 지식재산(연구성과물과 특허활용)(8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117 (2017)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26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
118 (2017)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지식재산권 이슈)(6차시,학점은행) 윤기승 박사 학점분할
119 (2017)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저작권)(10차시,학점은행) 박종태 변리사 학점분할
120 (2017)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상표)(3차시,학점은행) 박종태 변리사 학점분할
121 (2017)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특허)(4차시,학점은행) 박종태 변리사 학점분할
122 (2017)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디자인)(3차시,학점은행) 박종태 변리사 학점분할
123 (2017)상표법(26차시,학점은행) 박종태 변리사 학점
124 (2017)상표법(등록요건)(9차시,학점은행) 보호협회 학점분할
125 (2017)상표법(출원절차)(4차시,학점은행) 한국특허정보원 학점분할
126 (2017)상표법(상표권 효력 및 침해)(7차시,학점은행) 한국저작권위원회 학점분할
127 (2017)상표법(심판제도)(4차시,학점은행) 한국지식재산전략원 학점분할
128 (2017)상표법(마드리드의정서에 의한 국제출원)(2차시,학점은행) 이시창 이사 학점분할
구분 콘텐츠명 강사 개발 도입
1 (2010)짝퉁가족 명예탈환 대작전(5차시) 지식재산보호협회 외부 2010
2 (2011)내가 바로 특허 마이스터(15차시) 배경융,박종태 2011
3 (2011)좌충우돌 발명교실(5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1
4 (2011)간다!천하무적발명단1(5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1
5 (2011)간다!천하무적발명단2(5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1
6 (2011)간다!천하무적발명단3(5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1
7 (2011)간다!천하무적발명단4(5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1
(나) 청소년 과정
- 40 -
구분 콘텐츠명 강사 개발 도입
8 (2012)발명이 팡팡(8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2
9 (2012)발명왕 뽀로로(3차시) WIPO도입과정 외부 2012
10 (2012)Getting Creative with Pororo(3차시) WIPO도입과정 외부 2012
11 (2012)로로와 함께하는 발명탐험(15차시) 문대영 등 2012
12 (2013)과학교과속의 발명-초급(7차시) 권미숙 2013
13 (2013)과학교과속의 발명-중급(8차시) 박세근 2013
14 (2013)생활 속에서 발견하는 창의력과 발명(8차시) 조창희 2013
15 (2013)발명과 창의성(9차시) 백승훈 2013
16 (2013)광고와 미디어를 이용한 발명의 세계(9차시) 박상필 2013
17 (2013)소리를 이용한 발명과 융합(5차시) 구본철 2013
18 (2013)창의가 반짝1(10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3
19 (2013)창의가 반짝2(10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3
20 (2013)창의가 반짝3(10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3
21 (2013)과학이 톡톡1(15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3
22 (2013)과학이 톡톡2(15차시) EBS 도입과정 외부 2013
23 (2015)저작권과 친구될래요-초등용(3차시) 한국저작권위원회 외부 2015
24 (2015)저작권과 친구될래요-중등용(3차시) 한국저작권위원회 외부 2015
25 (2015)세상을 바꾼 발명-1편(3차시) 정서연 2015
26 (2015)세상을 바꾼 발명-2편(3차시) 정서연 2015
27 (2015)세상을 바꾼 발명-3편(4차시) 정서연 2015
28 (2015)플립러닝(거꾸로학습)을 적용한 발명교육(7차시) 이러닝선도학교 2015
29 (2016)플럽러닝 우수학교 현장촬영(1차시) 이러닝선도학교 2016
30 (2017)플립러닝 우수학교 현장촬영(4차시) 이러닝선도학교 2017
구분 콘텐츠명 개발 운영 수정
1 (2016)특허법(30차시, 학점은행) 2016 2017
2 (2016)저작권법(30차시, 학점은행) 2016 2017
3 (2016)자연과학개론(30차시, 학점은행) 2016 2017
4 (2016)법학개론(30차시, 학점은행) 2016 2017
5 (2016)디자인보호법(30차시, 학점은행) 2016 2017
6 (2016)기술경영론(30차시, 학점은행) 2016 2017
7 (2016)지식재산개론(30차시, 학점은행) 2016 2017
8 (2017)기술이전과 라이선싱의 이해(30차시,학점은행) 2017 2018
9 (2017)특허명세서 작성 실무(30차시,학점은행) 2017 2018
10 (2017)특허정보조사와 분석(30차시,학점은행) 2017 2018
11 (2015)연구개발과 지식재산(30차시, 학점은행) 2015 2018 2017
(다) 발명교원 과정
구분 콘텐츠명 강사 개발 운영 도입 비고
1 (2015)실전 발명영재교육(30차시) 최유현, 정호근, 양성우, 박세근 2015 2016 30시간과정
2 (2017)교실을 바꾸는 G-러닝 발명이야기(15차시) 국제협력실 외부 2017 2017 15시간과정
3 (2017)초등과학연계 발명수업의 실제(15차시) 박성진, 안달,최용준, 김창희, 이세기 2017 2018 15시간과정
(라) 학점은행
- 41 -
구분 콘텐츠명 강사 도입
1 (2009)공문서작성을 위한 한글맞춤법(중공교) 중공교 2009
2 (2009)보고서 잘 쓰는 방법(중공교) 중공교 2009
3 (2013)크리스토퍼의 미국특허제도(현장강의) Clugston.Christopher J 2009
4 (2013)출원ㆍ등록ㆍ심판 방식심사 실무(정혜영 외 5명) 정혜영 외 5명 2009
5 (2010)디지털카메라촬영기법 및 동영상편집(행안부) 행정안전부 2010
6 (2010)스마트폰(현장강의) 2010
7 (2010)차세대 자동차 신기술 동향1(현장강의) 2010
8 (2010)차세대 자동차 신기술 동향2(현장강의) 2010
9 (2010)그린에너지 개론(현장강의) 2010
10 (2010)홍대리! 문제는 창의력이야 2010
11 (2010)LCD-OLED 기술(현장강의) 2010
12 (2013)한국특허요건 심사기준(민정임 외 3명) 민정임 외 3명 2010
13 (2010)쉽게 배워 바로 쓰는 포토샵CS(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14 (2010)쉽게 배워 바로 쓰는 Word 2007(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15 (2010)쉽게 배워 바로 쓰는 파워포인트 2007(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16 (2010)전사원이 함께하는 위기관리(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17 (2010)커뮤니티의 진화, 소셜 네트워킹(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18 (2010)다가올 미래의 6가지 얼굴(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19 (2010)상상력에 코드를 꽂아라(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20 (2010)사람의 마음을 움직여라(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21 (2010)비타민C가 보이면 건강이 보인다(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22 (2011)엑셀2003-기본(행안부) 행정안전부 2010
23 (2011)엑셀2003-활용(행안부) 행정안전부 2010
24 (2010)쉽게 배워 바로 쓰는 Auto CAD 2010(자우미디어) 자우미디어 2010
25 (2010)회로이론 기본1(양진목) 2010
26 (2010)회로이론 기본2(양진목) 2010
27 (2013)PCT심사기초(문선흡 외 4명) 문섭흡 외 4명 2010
28 (2011)UCC 동영상 제작(중공교) 중공교 2011
29 (2011)실무예제로 배우는 문서편집 고급-한글 2007(중공교) 중공교 2011
30 (2011)웹 접근성의 이해(중공교) 중공교 2011
31 (2011)실무예제로 배우는 이미지편집 고급-포토샵CS5(중공교) 중공교 2011
32 (2011)실무예제로 배우는 표계산 고급-엑셀 2010(중공교) 중공교 2011
33 (2011)실무예제로 배우는 프레젠테이션 고급-파워포인트 2010(중공교) 중공교 2011
34 (2011)공무원 실용정보화 일반(중공교) 중공교 2011
35 (2011)문서편집 고급-실무예제 따라하기(중공교) 중공교 2011
36 (2011)한글2007(중공교) 중공교 2011
구분 콘텐츠명 개발 운영 수정
12 (2015)상표법(30차시, 학점은행) 2015 2018 2017
13 (2015)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30차시, 학점은행) 2015 2018 2017
14 (2015)지식재산권 관리론(30차시, 학점은행) 2015 2018 2017
(2) 특허청 공무원 온라인 교육
- 42 -
구분 콘텐츠명 강사 도입
37 (2011)무선통신과 안테나 기술(현장강의) 2011
38 (2011)반도체 노광공정 및 에칭공정기술(현장강의) 2011
39 (2011)뽀롱뽀롱 뽀로로 어떻게 성공했나?(현장강의) 2011
40 (2011)암, 생각을 바꿔야 이긴다(현장강의) 2011
41 (2011)지금부터 준비하는 퇴직 후 팔만시간(현장강의) 2011
42 (2011)일기일회 세계최고의 택시기사를 꿈꾸다(현장강의) 2011
43 (2011)세포치료기술(현장강의) 2011
44 (2011)유무선 통신(현장강의) 2011
45 (2011)특수공작기계 동향1(현장강의) 2011
46 (2011)특수공작기계 동향2(현장강의) 2011
47 (2011)태양전지 기술1(현장강의) 2011
48 (2011)태양전지 기술2(현장강의) 2011
49 (2011)공조기계의 최신 기술 동향(현장강의) 2011
50 (2011)세라믹 재료 제조 신기술 소개 및 응용(현장강의) 2011
51 (2011)마드리드 국제상표등록출원 심사실무(이지영) 이지영 2011
52 (2011)중국 특허제도와 특허문헌의 이해(유성원) 유성원 2011
53 (2012)나원본씨의 영업비밀이야기(보호협회) 보호협회 2012
54 (2012)민사소송법 기본강의1(박승수) 합격의법학원 2013
55 (2012)민사소송법 기본강의2(박승수) 합격의법학원 2013
56 (2012)민사소송법 사례강의(박승수) 합격의법학원 2013
57 (2012)주요심결 쟁점사례 - 2013
58 (2012)한-미 특허 로드쇼 인터넷방송 2013
59 (2012)고전에서 배우는 인문학(중공교) 중공교 2013
60 (2012)스마트워크의 이해(중공교) 중공교 2013
61 (2012)판례와 사례로 다가가는 헌법(중공교) 중공교 2013
62 (2012)디지털이미지 편집(중공교) 중공교 2013
63 (2012)소통의 핵심기술, 경청의 효과(중공교) 중공교 2013
64 (2012)저작권의 이해(중공교) 중공교 2013
65 (2012)공무원 재해예방과 보상(행안부) 행정안전부 2013
66 (2012)나를 관찰하며 살아라(행안부) 행정안전부 2013
67 (2012) 미래 사회와 국가전략(행안부) 행정안전부 2013
68 (2012)The Introduction to the Chinese Patent Law and Patent System(중국특허청) 중국특허청 2013
69 (2013)실무에서 바로 쓰는 공무원을 위한 저작권법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70 (2013)민법 총칙1(이상윤) 한빛변리사학원 2014
71 (2013)민법 총칙2(이상윤) 한빛변리사학원 2014
72 (2013)민법 총칙3(이상윤) 한빛변리사학원 2014
73 (2014)열역학이론1(권정환) 연수원 2014
74 (2014)열역학이론2(권정환) 연수원 2014
75 (2014)열역학이론3(권정환) 연수원 2014
76 (2014)영업비밀의이해1(박종태) 연수원 2014
77 (2014)영업비밀의이해2(박종태) 연수원 2014
78 (2014)화학반응공학1(윤정섭) 연수원 2014
79 (2014)화학반응공학2(윤정섭) 연수원 2014
- 43 -
구분 콘텐츠명 강사 도입
80 (2014)실전특허명세서작성 한국발명진흥회 2014
81 (2015)기계설비분야 신기술 및 기술동향(김길수) 연수원 2015
82 (2014)디자인보호법 한국발명진흥회 2016
83 (2015)임병웅의 특허법(상) 연수원(임병웅) 2016
84 (2015)박종태의 상표법 연수원(박종태) 2016
85 (2015)IP 활용하여 R&D 잘하기 한국지식재산전략원 2016
86 (2015)연구개발과 지식재산(학점) 나문용 변리사 2016
87 (2015)영업비밀보호교육 한국특허정보원 2016
88 (2015)인터넷과 지식재산권법(학점) 윤기승 박사 2016
89 (2015)저작권 개요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90 (2015)지식재산권 관리론(학점) 김현호,등 2016
91 (2016)상표법 쟁점과 사례(박종태) 연수원(특허법) 2016
92 (2016)특허법 쟁점과 사례(임병웅) 연수원(박종태) 2016
93 (2016)디자인보호법 쟁점과 사례(김웅) 연수원(김웅) 2016
94 (2016)민법 기본강의(이성환) 이성환 2016
95 (2016)민사소송법 기본강의(이종훈) 이종훈 2016
96 (2016)디자인보호법(김웅) 연수원(김웅) 2016
97 (2016)지식재산개론(학점) 윤기승 박사 2016
98 (2016)임병웅의 특허법(하) 연수원(임병웅) 2016
99 (2015)상표법(학점) 연수원(박종태) 2016
100 (2016)규제개혁 대표사례 연수원 2016
101 (2007)IP Panorama-글로벌 IP경영과정(영문) 특허청/WIPO 2017
102 (2007)IP Panorama-글로벌 IP경영과정(국문) 특허청/WIPO 2017
103 (2009)IP Ignite-글로벌 IP이슈과정(영문,국문자막) 특허청/WIPO 2017
104 (2017)상표법 쟁점과 사례(박종태) 연수원(박종태) 2017
105 (2017)민사소송법 쟁점과 사례(이종훈) 연수원(이종훈) 2017
106 (2017)디자인보호법 쟁점과 사례(김웅) 연수원(김웅) 2017
107 (2017)특허법 쟁점과 사례(임병웅) 연수원(임병웅) 2017
108 (2017)특허법 이론1(임병웅) 연수원(임병웅) 2017
109 (2017)CPC 분류 교육 2017
110 (2017)IP제품혁신방법론 한국발명진흥회 2017
111 (2017)상표법 이론(박종태) 박종태 2017
112 (2017)디자인보호법 이론(김웅) 김웅 2017
113 (2017)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식재산 행정(이광형) 이광형 2017
114 (2017)특허법 이론2(임병웅) 임병웅 2017
115 (2018)직장 내 올바른 성문화 인식 확산을 위한 폭력 예방 교육(준공교) 중공교 2018
116 (2018)장애인식개선 중공교 2018
117 (2017)특허법 이론1(총칙) 연수원(임병웅) 2018
118 (2017)특허법 이론1(특허요건 및 특허출원) 연수원(임병웅) 2018
119 (2017)특허법 이론1(심사) 연수원(임병웅) 2018
120 (2017)특허법 이론1(등록 및 제도) 연수원(임병웅) 2018
121 (2017)특허법 이론2(국제출원) 연수원(임병웅) 2018
123 (2017)특허법 이론2(국제법상의 심판) 연수원(임병웅) 2018
- 44 -
구분 콘텐츠명 강사 도입
124 (2017)특허법 이론2(특허권의 효력) 연수원(임병웅) 2018
125 (2017)특허법 이론2(특허권의 이용저촉관계와 침해) 연수원(임병웅) 2018
126 (2017)디자인보호법 이론(총칙) 연수원(김웅) 2018
127 (2017)디자인보호법 이론(특유디자인) 연수원(김웅) 2018
128 (2017)디자인보호법 이론(디자인등록요건 및 디자인등록출원) 연수원(김웅) 2018
129 (2017)디자인보호법 이론(디자인권자의 보호 및 헤이그 협정) 연수원(김웅) 2018
130 (2017)상표법 이론(상표법 총칙 및 상표의 개념 이해) 연수원(박종태) 2018
131 (2017)상표법 이론(상표의 동일 유사) 연수원(박종태) 2018
132 (2017)상표법 이론(등록요건) 연수원(박종태) 2018
133 (2017)상표법 이론(상표권자의 보호 및 심판) 연수원(박종태) 2018
- 45 -
제3절 국내의 지식재산 교육 현황
1. 특허청의 지식재산 교육
(1)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
산업재산정책국은 우리나라 산업재산 정책의 수립ㆍ조정ㆍ운영을 총괄하
는 부서로서 산업재산 인력의 양성ㆍ활용을 위한 시책을 수립ㆍ추진하는 업
무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산업재산정책국은 여성 발명교육, 지식재
산서비스 채용연계교육 등 다양한 교육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식재산교
육 선도대학 지원, 지식재산 전문학위과정 지원 등 지식재산 교육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여러 지원사업들도 추진하고 있다.
수카스코리아 수카스코리아샤오미수카스 | 샤오미수카스
샤오미 | 샤오미
수카스 수카스
샤오미수케어 샤오미수케어
지역 IP역량 진단을 위한 지표의 가중치를 국가 단위 혹은 기관 단위의 지표와 비교했을 때,성과
부분에 대한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이 되었으며,지역이 IP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인프라적 요소들에 대한 가중치가 높게 구성되었다.중분류 단계의 지표 간 가중치를 살펴보면,
투입의 재정투자,인프라의 RIPC(지역지식재산센터),활동의 민간(기업)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강조되고 있는데,해당 지표들은 지역 주체들의 노력/지원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부분이다.
전동칫솔 | 전동칫솔샤오미전동칫솔 | 샤오미전동칫솔
브라운면도기 브라운면도기
브라운전기면도기 브라운전기면도기
수카스 S5 | 수카스 S5
전동칫솔추천 | 전동칫솔추천
수케어 수케어
면도기 면도기
다음 품종명칭을 상표출원을 통해 보호받는 경우를 살펴보면, 하나의 명칭에 대하여 사
과, 배, 감귤 등 다양한 작물에 대하여 출처를 표시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표는 상품의 출처를 나타내는 것을 주요기능으로 하며 해당
품종의 명칭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상표출원을 통해 특정 품종의 명칭을 보
호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특정 작물만 지정상품으로 출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여러
작물을 지정상품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향후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개별품종의 명칭으로
보호받고자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차이슨드라이기 | 차이슨드라이기전동칫솔 | 전동칫솔
샤오미전동칫솔 | 샤오미전동칫솔
브라운면도기 브라운면도기
브라운전기면도기 브라운전기면도기
재정투자는 IP투자와 R&D투자로 구성하였다.IP투자는 지역의 IP투입 중 재정투자를 평가하는
지표로 IP관련 사업예산 규모와 IP사업예산 중 지자체 대응투자 비중을 활용하여 측정한다.R&D
투자는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공공과 민간부문 R&D 투자의 적극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국내총생산 대비 R&D 투자액이 차지하는 비율로 산출한다.
수카스 S5 | 수카스 S5전동칫솔추천 | 전동칫솔추천
수케어 수케어
면도기 면도기
차이슨드라이기 | 차이슨드라이기
[표 5-2-1]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의 지식재산 교육 환경 SWOT 분석
- 196 -
4. 추진방향
이상의 분석결과에 따라,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은 다음 3가지 측면을 고려하
여 새롭게 변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기존의 연수원의 역할을 지식재산 교
육 중심에서‘지식재산 인력양성’중심의 기관으로 변화하여야 한다. 둘째,
정부의 정책기조에 맞추고, 지식재산 인력양성이라는 공공성을 더욱 확보하
여야 한다. 셋째, 선택과 집중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
여야 한다.
JMW드라이기추천 | JMW드라이기추천TAG_C2TAG_C3
그리고 유럽특허아카데미는 2018년에 변리사를 대상으로 유럽특허청 정
책 동향을 설파하고 유럽특허청에서의 특허절차에 관한 개관을 교육하는 순
회행사를 새로이 마련ㆍ운영하였다. 동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개최 횟수와 장
소는 아직 공식으로 집계되지 않았으나, 회원국별 교육 수요에 따라 각 회원
국 특허청과 협력하여 현지에서 개최될 것으로 추정된다.
TAG_C4TAG_C5TAG_C6TAG_C7마지막으로, 특허출원일과 품종보호출원일이 같은 날인 경우에는 상호 자유롭게 실시하
도록 하는데, 특허법 제105조와 신설될 식물신품종보호법의 관련 규정의 해석에 의해 가
능하므로, 기존의 규정을 개정하거나 새로운 조항을 신설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