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학> 대구 요양병원 확진자 계속 늘어나…5곳서 18명 추가
오늘의소식879 20-04-02 11:03
본문
독일에서도 특허권자가 침해자의 판매액을 증명할 책임을 부담하고, 공제할 비용에 대해
서는 침해자가 증명책임을 부담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000년 독일 연방대법원의
Gemeinkostenantel 판결413은 만일 고정비와 변동 간접비가 예외적으로 침해품에 직접
귀속될 수 있으면 그러한 한도에서 이를 수익에서 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침해자가 이러한 사실을 주장하고 입증할 책임을 부담한다고 하였다.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 일본 도로교통법 제2조
8. 차량이라 함은 자동차, 원동기부착자전거, 경차량 및 트롤리버스를 말한다.
☞ briquette
조개탄 (영어)
1. (외장용) 소형 벽돌 2. (벽돌 모양의) 연료 (프랑스어)
☞ binding agent
(약제학) 결합제(結合劑)
☞ agent
물질, 인자, -약, -제, 약물(藥物), [약]제([藥]劑), 병인(病因), 병원체(病原體), [작용]인자([作用]因子),
발생원.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효과를 일으키는 힘 · 성분 또는 물질.
☞ 인조석[人造石, artificial stone , Kunststein]
인조로 만든 석재를 말한다. 모래, 암석 분쇄물, 안료 등을 적당히 혼합해서 결합제를 넣어 천연석
을 모방하거나 또는 독특한 모양의 석재를 제조한 것. 암석으로는 색채와 모양에 특색이 있는 모든
것이 이용된다. 안료는 싼 것으로 황토와 산화철(Ⅱ)가 이용된다. 결합제로는 포틀랜드 시멘트, 백
색 포틀랜드 시멘트, 마그네시아 시멘트, 물유리, 염화칼슘 혼합재 등이 사용된다. 이것들을 적
당히 배합하고 물로 반죽하여 형틀에 넣고 경화시킨 후 표면 마무리한다. 또 현무암, 안산암 등을
용융하여 주조한 인조석도 있다. 천연 석재의 대용으로 사용된다.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160 획득한 이익이 침해행위에
어느 정도 기인하였는지는 정확히 계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평가되는 것이라고 설명
된다.
☞ スポイラー (스포일러)
1. (항공기의) 양력( 力) 감쇠 장치((부양력은 줄이고 항력(抗力)을 불리기 위해 날개 위에 세우는
가늘고 긴 판)).
2. (자동차에 부착한) 기류 조정기(고속 시의 안정 주행성을 높이기 위한 날개 꼴 장치).
☞ vehicle
1. 차량, 탈것, 운송 수단
2. (감정 표현·목표 달성 등의) 수단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일본어사전, 네이버 영어사전)
한국 일본
<표 189> 관련상품 - 차량용 스포일러(spoilers for vehicles, 乗物用スポイラ )
니스(NICE) 상품목록에 대한 한·일 유사군 코드 비교연구(10~13류, 19류)
- 334 -
- 이는 번역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됨. 즉, 한국에서는 vehicle을 차량으로 번역하여 자동차 관련
유사군을 부여한 반면, 일본에서는 모든 운송수단을 포함하는 乗物(탈것; 교통 기관)으로 번역함으로써
포괄적인 유사군을 부여하게 됨.
○ 유사군코드 및 상품명칭 변경 제안
- 양 국가 간에 상이한 분류코드를 적용하게 된 배경은 번역의 차이 때문인데, 오번역으로 인한 것이 아
니어서 현재 부여된 분류코드에 불합리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현행 분류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됨.
(14) 케이블운송설비용 차량(cars for cable transport installations, ケーブルカー), 침대차
(sleeping cars, 寝台車)
○ 한국은 G3705(자동차, 자동차와 그 부품 및 부속품)의 유사군코드를, 일본은 12A04(철도차량과 그 부
품 및 부속품)의 유사군코드를 적용함.
구 분 KIPO JPO
유사군
G3705
(자동차,자동차와 그 부품 및
부속품)
12A01,12A02,12A04,12A05,12A0
6,12A73
(차량용 스포일러)
상품의 범위
‣철도차량을 제외한 육상이동용
차량
‣오토바이
‣위와 관련한 부품 및 부속품
‣선박과 그 부품 및 부속품 (공
기부양선은 제외)(12A01)
‣항공기와 그 부품 및 부속품(12
A02)
‣철도차량과 그 부품 및 부속품
(12A04)
‣자동차와 그 부품 및 부속품(12
A05)
‣이륜자동차, 자전거의 부품 및
부속품(12A06)
‣공기부양선(12A73)
상
품
속
성
및
거
래
실
정
(a) 생산부문
(b) 판매부문
(c) 상품의 재질 및 품질
(d) 상품의 용도
(e) 수요자 범위
(f) 완성품과 부품관계
(g) 기타 √ √
<표 190> 상품속성 및 거래실정 분석현황표 - 차량용 스포일러(spoilers for vehicles, 乗物用スポイラ )
니스(NICE) 상품목록에 대한 한·일 유사군 코드 비교연구(10~13류, 19류)
- 335 -
○ 상품의 속성
- ‘케이블운송설비용 차량(cars for cable transport installations, ケーブルカー), 침대차(sleeping cars, 寝
台車)’ 관련 용어는 아래와 같은 의미로 파악됨.
○ 거래실정
- ‘케이블운송설비용 차량(cars for cable transport installations, ケーブルカー)’ 에 대한 한·일 양국의 거
래실정을 살펴본 결과, 케이블운송설비를 위한 목적의 차량과 관련된 거래실정은 확인되지 않음.
☞ ケーブルカー (cable car)
케이블 카; 강삭(鋼索) 철도
☞ car
1. 승용차, (자동)차
2. (기차의) 차량
3. (기차의 특정한) 차
☞ 침대차 [sleeping car, 寢臺車]
침대를 설치하여 놓은 열차.
침대설비를 갖춘 철도차량. 야간열차를 이용하는 여객이 자면서 여행할 수 있게 침대설비를 갖춘
철도차량이다. 침대차는 객차와 같은 구조에 침대를 내부에 설치한 것으로, 전에는 1등, 2등, 3등으
로 나누었으나, 지금은 등급이 없어졌다. 무궁화호에는 일반침대와 독실침대차가 있다.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
라. 피고의 비용 공제
이하에서는 다수의 판례와 학계 논의가 풍부한 상표권 침해에 따른 침해자 이익 반환시
의 비용 공제를 위주로 논하기로 한다.
개정안 제1안의 제2문은 침해행위로 인하여 얻은 수익에서 어떤 비용을 공제할 수 있는
지 규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침해행위로 인하여 얻은 수익에서 변동비는 물론이고 고정
비도 공제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인지 문제된다. 이에 대해서도 아래346에서 다시 검토하
나, 여기서 그 결론을 간략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폰SE2 사전예약 | 아이폰SE2 사전예약TAG_C2TAG_C3TAG_C4
즉, 1946년에 제정된 상표법은 원고의 구제 방법으로서 “(1) 피고의 이익, (2) 원고가 입은
손해, (3) 소송 비용 [(1) defendant's profits, (2) any damages sustained by the plaintiff, and
(3) the costs of the action.]”을 나열하고 있고,
26 미국 특허법의 일부를 구성하는 디자인
23 Georgia-Pacific Corp. v. United States Plywood Corp., 243 F. Supp. 517, 518 (S.D.N.Y. 1965).
24 Birdsall v. Coolidge, 93 U.S. 64 (1876).
25 Georgia-Pacific Corp. v. United States Plywood Corp., 243 F. Supp. 520 (S.D.N.Y. 1965).
26 15 U.S.C. § 1117.
18
특허법은 “디자인 특허를 침해당한 권리자는 다른 구제 구제방법과는 별도로 최소 $250
이상의 침해자의 전체 이익의 반환을 구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other remedies
available to the owner of an infringed patent, the recovery of the infringer's total profit,
but not less than $250.)”고 함으로써,
27 동시대에 개정된 특허법이 침해자의 이익에 관한
언급을 삭제한 것과 잘 대조되기 때문이다.
TAG_C5TAG_C6TAG_C7